기획특집



[기획 특집 Call for Papers – ACK 2025]
 

주제설명 

정보처리학회 논문지(TKIPS)는 2025년 11월 6일부터 8일까지 개최되는 ACK 2025에서 발표될 논문을 대상으로 기획 특집을 발행합니다. 본 기획 특집은 컴퓨터 과학 전 분야의 연구를 다루며, 이번 기획 특집에서 선정된 논문은 정보처리학회 논문지(TKIPS)에 게재되며,  ACK 2025 특별세션으로 발표될 예정입니다. 연구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투고를 바랍니다.

 

모집 대상

•컴퓨터 과학 전 분야 연구 논문

 

특전 및 필수 사항

• 기획 특집 게재 논문은 ACK 2025 특별세션에서 발표 필수
• 논문 게재료 및 ACK 2025 학술대회 등록 필수
• 논문 기본 게재료 50% 할인 (기존 30만원-> 15만원) 혜택 제공
 

제출 방법

• 제출: 온라인 논문투고 및 심사 시스템 → 기획 특집 트랙 선택 →'ACK 2025' 선택
• 분량: 투고 규정의 편집 양식 기준으로 6~10쪽 내외, 20쪽 이상 불가
• 형식: 투고 규정에 따라 작성, 제출해야 함
• 심사: 1차에서 심사완료 판정
• 양식: KIPS 저널 홈페이지(http://tkips.kips.or.kr)에서 다운로드
• 문의처: 조환희 (02-2077-1414, 내선 5번)

 

일정

• 제출 마감: 2025년 9월 22일
• 발간 예정: 제14권 11호 or 제14권 12호 (2025년 11월 or 12월)

 

초빙편집장

민홍 교수(가천대학교)

 


[기획 특집 Call for Papers – ASK 2025]
 

주제설명 

정보처리학회 논문지(TKIPS)는 2025년 5월 29일부터 31일까지 개최되는 ASK 2025 학술대회에서 발표될 논문을 대상으로 기획 특집을 발행합니다. 본 기획 특집은 컴퓨터 과학 전 분야의 연구를 다루며, 이번 기획 특집에서 선정된 논문은 정보처리학회 논문지(TKIPS)에 게재되며,  ASK 2025 특별세션으로 발표될 예정입니다. 연구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투고를 바랍니다.

 

모집 대상

•컴퓨터 과학 전 분야 연구 논문

 

특전 및 필수 사항

•기획 특집 게재 논문은 ASK 2025 학술대회의 특별세션에서 발표 필수
•논문 게재료 및 ASK 2025 학술대회 등록 필수
•논문 게재료 50% 할인 (기존 40만원-> 20만원) 혜택 제공
 

제출 방법

•제출: 온라인 논문투고 및 심사 시스템 → 기획 특집 트랙 선택 →'ASK 2025' 선택
•분량: 투고 규정의 편집 양식 기준으로 6~10쪽 내외, 20쪽 이상 불가
•형식: 투고 규정에 따라 작성, 제출해야 함
•심사: 1차에서 심사완료 판정. 논문지 게재 불가 논문 중에서도 ASK 2025 발표 논문 추천 
•양식: KIPS 저널 홈페이지(http://tkips.kips.or.kr)에서 다운로드
•문의처: 조환희 (02-2077-1414, 내선 5번)

 

일정

•제출 마감: 2025년 4월 15일
•발간 예정: 제14권 5호 (2024년 5월)

 

초빙편집장

김한준 교수(연세대학교)

KTCCS


[제출기한 - 2024-10-07]

신흥 하드웨어를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최적화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주제설명 

한국정보처리학회(KIPS) Transactions 저널은 "신흥 하드웨어를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최적화"를 주제로 한 논문을 기획특집으로 모집하고자 합니다. 하드웨어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컴퓨팅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최적화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솔루션의 필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도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이번 기획 특집은 최신 신흥 하드웨어 기술에 중점을 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최적화 분야의 최첨단 연구와 혁신적인 실천 사례를 모으고자 합니다.

 

주제 및 범위

•최적화 기법:
새로운 하드웨어 아키텍처를 위한 컴파일러 최적화
에너지 효율적인 알고리즘 및 프레임워크
성능 튜닝 및 프로파일링 도구
실시간 최적화 전략

•신흥 하드웨어:
뉴로모픽 컴퓨팅
AI 및 머신 러닝을 위한 가속기 (GPU, TPU, FPGA)
차세대 프로세서 및 마이크로 아키텍처

•소프트웨어-하드웨어 공동 설계:
성능 향상을 위한 설계 방법론
특정 하드웨어에 맞춘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
이기종 컴퓨팅 자원의 통합
크로스 레이어 최적화 기술

•응용 및 사례 연구:
실제 시나리오에서의 최적화 사례 연구
응용별 최적화 (예: IoT, 엣지 컴퓨팅, 데이터 센터)
산업 응용에서의 성공 사례
 

 

제출 방법

•제 출: 온라인 논문투고 및 심사 시스템(KTCCS) - 기획 특집 트랙 선택 - ' 신흥 하드웨어를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최적화 ' 선택
•분 량: 투고 규정의 편집 양식 기준으로 10쪽 내외, 20쪽 이상 불가
•형 식: 투고 규정에 따라 작성, 제출해야 함
•심 사: 1차에서 심사완료 판정 (가급적 재심사없이 1차 심사로 결과 판정)
•양 식: KIPS 저널 홈페이지(http://tkips.kips.or.kr)에서 다운로드
•문의처: 조환희 (02-2077-1414, 내선 5번)

 

일정

•제출 마감: 2024년 10월 7일
•발간 예정: 제13권 11호 (2024년 11월)

 

초빙편집장

김한준 교수(연세대학교)

 


[제출기한 - 2020-09-15]

DNA (데이터, 네트워크, 인공지능) 기반 지능형 정보 기술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주제설명 

DNA (Data, Network, AI)는 비교적 새로운 용어이며 최근 ICT 기술 중 가장 인기 있는 세 가지 기술을 결합한 용어입니다. 최근 IoT 기술을 활용한 DNA 기반 지능형 서비스 및 응용 개발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IoT는 센서를 통해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수집합니다. 수집된 데이터는 AI 기술을 통해 분석되며 지능형 ICT 서비스를 위해 활용됩니다. AI 기술이 없다면 IoT와 데이터의 가치는 제한적일 것입니다. AI 기술은 IoT가 수집한 데이터의 가치를 증가시키며 반대로 IoT는 AI의 학습과 지능을 촉진 시킬 수 있습니다.

현장에서는 DNA 기술 및 DNA 기반 지능형 응용 서비스 개발 관련해서 많은 이슈가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 방대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네트워크에서 낮은 지연을 지원해야 하는 엣지 컴퓨팅 이슈, 방대한 데이터를 분석하고 실시간 응답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고성능 AI 이슈 등이 있습니다. 또한, 보안 이슈로 IoT 시스템 기반 개인 응용 서비스의 경우 데이터 보호 측면에서 개인 정보 보호 및 안전을 제공하기 위한 DNA 관련 기술 이슈가 있습니다. 앞에 언급한 이슈를 해결하기 위해 기계 학습 기술을 활용하는 DNA 시스템이 하나의 대인이 될 수 있습니다. 추가로 증가하는 DNA 시스템과 DNA 기반 응용 개발과 관련된 많은 다른 이슈가 있습니다. 

데이터, 네트워크, AI 조합인 DNA는 지능형 응용 및 서비스 개발에 있어 잠재적 기술력을 가지고 있기때문에 이번 기획 특집 이슈에서 DNA 기술 및 DNA 기반 지능형 응용 기술 관련 다양한 분야 연구 논문을 모집합니다. 특히, DNA 분야에서의 새로운 연구 결과와 새로운 DNA 아키텍처, 시스템, 알고리즘, 기술 또는 응용 분야를 포함한 이론적 및 실험적 연구 결과를 환영합니다.

 

주제 및 범위

• 스마트 시티를 위한 DNA 기술 
• CPS (Cyber-Physical Systems) 및 CPSS (Cyber-Physical-Social Systems)을 위한 DNA 기술
• 지능형 서비스를 위한 클라우드, 포그, 엣지 컴퓨팅 기술
• DNA 기반 지능형 서비스를 위한 기계 학습 및 딥러닝 
• DNA 관련 5G 기술 
• DNA 기반 지능형 차량 서비스  
• DNA 보안 기술 
• DNA 관련 인공지능 알고리즘 
• DNA 기반 지능형 사물인터넷 기술 
• DNA 기반 새로운 응용 및 지능형 서비스

 

제출 방법

• 제 출: 온라인 논문 투고 및 심사 시스템 - “기획 특집 트랙” 선택 - 'DNA (데이터, 네트워크, 인공지능) 기반 지능형 정보 기술' 선택
• 분 량: 투고 규정의 편집 양식 기준으로 20쪽 이내
• 형 식: 투고 규정에 따라 작성, 제출해야 함
• 심 사: 1차에서 심사완료 판정 (가급적 재심사 없이 1차에서 심사 결과 판정)
• 양 식: KTCCS 저널 홈페이지(http://ktccs.kips.or.kr)에서 다운로드
• 투고료: 10만원
• 문의처: 윤영숙 과장 (02-2077-1414, 내선 3번)

 

일정

• 제출 마감: 2020년 9월 15일 
• 발간 예정: 2020년 11월 (제9권, 제11호)

 

초빙편집장

윤주상 교수 (동의대학교 산업ICT기술공학전공)
 
 

 

[제출기한 - 2023-10-30]

디지털 전환을 위한 ICT 기술과 융합 사례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주제설명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 DX) 기술은 사회 전반에 걸쳐 혁신을 이끌고 있으며 새로운 산업융합생태계를 만들어 가고 있습니다. 특히, 인공지능, 데이터, 클라우드, 엣지 컴퓨팅, 지능형사물인터넷, 디지털 트윈 기술은 디지털 전환 핵심 기술입니다. 초기의 디지털 전환 사례는 AI, 클라우드, 데이터 등 단일 ICT 기술이 적용된 단순 디지털 전환 정도였지만, 현재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여러 ICT 기술이 융합되어 스마트시티, 디지털 금융, 디지털 제조, 디지털 농업, 디지털 수산 등 모든 영역에서 다양한 디지털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기획 특집에서는 다양한 영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디지털 전환을 위해 적용되는 AI, 클라우드, 데이터, AIoT, 디지털 트윈 기술과 다양한 영역에 디지털 전환을 위해 적용되고 있고 있는 ICT 응용 및 융합 기술을 논문으로 모집합니다. 또한, 이번 특집호는 한국정보처리학회 30주년을 맞이하여 과거와 현재 ICT 기술 변화를 알수 있는 ICT 기술 변천사 관련해서도 논문을 모집합니다.

 

주제 및 범위

• 디지털 전환을 위한 AI, 데이터, 클라우드, 엣지컴퓨팅, AIoT, 디지털 트윈 기술
• 디지털 전환을 위한 ICT 응용 및 융합 기술
• AI 기반 디지털 전환 사례
• 다양한 산업분야의 디지털 전환 구현 사례
• 기타 디지털 전환 관련 연구 분야
• ICT 기술 변천사 과정 및 사례

 

제출 방법

• 제 출: 온라인 논문투고 및 심사 시스템 - 기획 특집 트랙 선택 - '디지털 전환 기술' 선택
• 분 량: 투고 규정의 편집 양식 기준으로 10쪽 내외, 20쪽 이상 불가
• 형 식: 투고 규정에 따라 작성, 제출해야 함
• 심 사: 1차에서 심사완료 판정 (가급적 재심사없이 1차 심사로 결과 판정)
• 양 식: KTCCS 저널 홈페이지(http://ktccs.kips.or.kr)에서 다운로드
• 투고료: 10만원
• 문의처: 윤영숙 차장 (02-2077-1414, 내선 3번)

 

일정

• 제출 마감: 2023년 10월 30일 
• 발간 예정: 2023년 12월 (제12권, 제12호)
 * 논문지 출판 사정에 따라 발간 예정일은 조정될 수 있음.

 

초빙편집장

홍용근 교수 (대전대학교)

 


[제출기한 - 2020-09-15]

DNA (데이터, 네트워크, 인공지능) 기반 지능형 정보 기술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주제설명 

DNA (Data, Network, AI)는 비교적 새로운 용어이며 최근 ICT 기술 중 가장 인기 있는 세 가지 기술을 결합한 용어입니다. 최근 IoT 기술을 활용한 DNA 기반 지능형 서비스 및 응용 개발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IoT는 센서를 통해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수집합니다. 수집된 데이터는 AI 기술을 통해 분석되며 지능형 ICT 서비스를 위해 활용됩니다. AI 기술이 없다면 IoT와 데이터의 가치는 제한적일 것입니다. AI 기술은 IoT가 수집한 데이터의 가치를 증가시키며 반대로 IoT는 AI의 학습과 지능을 촉진 시킬 수 있습니다.

현장에서는 DNA 기술 및 DNA 기반 지능형 응용 서비스 개발 관련해서 많은 이슈가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 방대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네트워크에서 낮은 지연을 지원해야 하는 엣지 컴퓨팅 이슈, 방대한 데이터를 분석하고 실시간 응답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고성능 AI 이슈 등이 있습니다. 또한, 보안 이슈로 IoT 시스템 기반 개인 응용 서비스의 경우 데이터 보호 측면에서 개인 정보 보호 및 안전을 제공하기 위한 DNA 관련 기술 이슈가 있습니다. 앞에 언급한 이슈를 해결하기 위해 기계 학습 기술을 활용하는 DNA 시스템이 하나의 대인이 될 수 있습니다. 추가로 증가하는 DNA 시스템과 DNA 기반 응용 개발과 관련된 많은 다른 이슈가 있습니다. 

데이터, 네트워크, AI 조합인 DNA는 지능형 응용 및 서비스 개발에 있어 잠재적 기술력을 가지고 있기때문에 이번 기획 특집 이슈에서 DNA 기술 및 DNA 기반 지능형 응용 기술 관련 다양한 분야 연구 논문을 모집합니다. 특히, DNA 분야에서의 새로운 연구 결과와 새로운 DNA 아키텍처, 시스템, 알고리즘, 기술 또는 응용 분야를 포함한 이론적 및 실험적 연구 결과를 환영합니다.

 

주제 및 범위

• 스마트 시티를 위한 DNA 기술 
• CPS (Cyber-Physical Systems) 및 CPSS (Cyber-Physical-Social Systems)을 위한 DNA 기술
• 지능형 서비스를 위한 클라우드, 포그, 엣지 컴퓨팅 기술
• DNA 기반 지능형 서비스를 위한 기계 학습 및 딥러닝 
• DNA 관련 5G 기술 
• DNA 기반 지능형 차량 서비스  
• DNA 보안 기술 
• DNA 관련 인공지능 알고리즘 
• DNA 기반 지능형 사물인터넷 기술 
• DNA 기반 새로운 응용 및 지능형 서비스

 

제출 방법

• 제 출: 온라인 논문 투고 및 심사 시스템 - “기획 특집 트랙” 선택 - 'DNA (데이터, 네트워크, 인공지능) 기반 지능형 정보 기술' 선택
• 분 량: 투고 규정의 편집 양식 기준으로 20쪽 이내
• 형 식: 투고 규정에 따라 작성, 제출해야 함
• 심 사: 1차에서 심사완료 판정 (가급적 재심사 없이 1차에서 심사 결과 판정)
• 양 식: KTCCS 저널 홈페이지(http://ktccs.kips.or.kr)에서 다운로드
• 투고료: 10만원
• 문의처: 윤영숙 과장 (02-2077-1414, 내선 3번)

 

일정

• 제출 마감: 2020년 9월 15일 
• 발간 예정: 2020년 11월 (제9권, 제11호)

 

초빙편집장

윤주상 교수 (동의대학교 산업ICT기술공학전공)
 
 
 

[제출기한 - 2019-01-20]

IoT와 Edge Computing의 기계 학습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주제설명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기술은 임베디드 장치, 스마트 개체, 또는 스마트 폰을 활용하여 다양한 유선 및 무선 기술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고 있습니다. 특히, BLE 4.0과 같은 새로운 Bluetooth 표준 및 지그비 (ZigBee)와 같은 표준에 기반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 (WSN)와 IoT의 통합은 차세대 네트워크에서 새로운 애플리케이션 및 서비스를 실현시킵니다. 한편, 각종 IoT 장치는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생성하며, 일반적으로 그러한 대량의 센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계산하는 데 원격의 클라우드 시스템이 사용됩니다. 하지만, 원격지에 존재하는 클라우드 시스템의 사용은 데이터 저장 및 장치 간의 통합에 많은 어려움이 발생합니다.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Edge Computing 기술은 데이터 수집, 프로세스 및 분석을 원격지의 클라우드 시스템이 아닌 데이터 생성 소스 근처에서 수행하도록 합니다. 최근, Edge Computing 기술은 실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소비자 중심의 IoT 서비스 및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기위한 중요한 플랫폼이 되고 있습니다. 한편, 인공지능의 한 기술 분야로서 기계 학습은 사람이 개입할 필요없이 컴퓨터가 스스로 학습하여 프로그래밍이 자동으로 되도록 합니다. Edge Computing 기술을 사용하여 IoT 장치 또는 이와 근거리의 컴퓨팅 장치에서 기계 학습을 수행하면 장치 자체에서 모델을 직접 학습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를 외부로 보낼 필요가 없어집니다. 본 KTCCS의 기획 특집은 IoT 장치 및 Edge Computing 환경에서 지식 처리 및 학습을 위한 기계 학습과 관련된 연구를 모집합니다. 이와 관련된 연구를 하시는 분들의 많은 참여를 바랍니다.
 
 

범위

• IoT와 Edge Computing에서의 지도학습, 비지도학습 및 강화학습

• IoT를 위한 Edge Computing에서의 빅데이터 처리
• IoT와 Edge Computing에서의 최신 기계 학습 기술 
• IoT와 Edge Computing에서의 스마트 홈, 스마트 트래픽 모니터링, 스마트 헬스, 스마트 교육, 스마트 제조
• IoT와 Edge Computing에서의 메모리 관리를 위한 기계 학습
• IoT와 Edge Computing에서의 차원 축소 및 정보 융합
• IoT와 Edge Computing에서의 확장서 있는 온라인 분산 딥러닝
• IoT와 Edge Computing에서의 보안 및 위협 탐지를 위한 기계 학습
• IoT와 Edge Computing에서의 에너지 효율적인 데이터 센싱 및 처리를 위한 딥러닝 기술

 

제출 방법

• 제  출: 온라인 논문 투고시스템에서
  - 논문 트랙 “기획 특집” 선택 - 'IoT와 Edge Computing에서의 기계학습' 선택
• 분  량: 투고 규정의 편집 양식 기준으로 20쪽 이내
• 형  식: 투고 규정에 따라 작성 및 제출.
• 심  사: 1차에서 심사완료 판정 (게재가/수정후게재 또는 게재불가, 재심사 없음)
• 양  식: KTCCS 저널 홈페이지(http://ktccs.kips.or.kr)에서 다운로드
• 투고료: 10만원
• 문의처: 윤영숙 과장 (02-2077-1414, 내선 3번)

 

일정

• 제출 마감: 2019년 1월 20일 
• 발간 예정: 2019년 4월 (제8권, 제4호)

 

초빙편집장

김경백 교수 (전남대학교 전자컴퓨터공학부)
 
 
 

[제출 마감 - 2016년 10월 30일 ]

 

안드로이드 보안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컴퓨터 및 통신시스템

주제설명

한국정보처리학회에서는 아래와 같이 기획 특집을 발간예정하고 있습니다. 회원님들의 적극적인 투고를 부탁드리며, 제출방법은 논문 온라인 시스템을 통하여 접수받습니다. 제출시에 학술지 '컴퓨터 및 통신시스템 (KCC)'의 논문 트랙을 '기획 특집'으로 선택하고 '안드로이드 보안' 기획 특집 이름을 택하여 투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범위

안드로이드 보안에 관한 다음 세부 주제에 관한 논문을 투고 받습니다.

  • - 안드로이드 시스템 보안
  • - 안드로이드 앱 보안
  • - 안드로이드 하드웨어 보안
  • - 안드로이드 암호 기술
  • - 기계학습이론의 Android 보안에의 적용
  • - IoT 환경에서의 Android 보안
  • - 기타 다양한 안드로이드 보안 관련 연구

제출 방법

- 제 출: 온라인 논문투고 및 심사 시스템 - 기획 특집 트랙 선택 - '안드로이드 보안' 선택
- 분 량: 투고 규정의 편집 양식 기준으로 20쪽 이내
- 형 식: 투고 규정에 따라 작성, 제출해야 함
- 심 사: 1차에서 심사완료 판정 (게재가, 게재불가, 재심사 없음)
- 양 식: 학회 홈페이지 공지 (http://www.kips.or.kr -> 학회 공지/행사)
- 투고료: 10만원
- 문의처: 윤영숙 과장 (02-2077-1414, 내선 3번)

일정

- 제출 마감: 2016년 10월 30일 
- 발간 예정: 2016년도 12월호 (제5권, 12호)

 

초빙편집장

호준원 교수 (서울여자대학교)
 


KTSDE

 

[제출마감일 - 2023-09-30]

 

서베이&리뷰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주제설명 및 범위 (Description and Scope)
 

"KTSDE-서베이&리뷰" 기획 특집에서는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분야에 대한 서베이 및 리뷰 논문을 모집합니다. 이번 기획 특집은 넓은 층의 청중들이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분야에 대한 연구를 쉽게 이해하고 기존 기술과 신흥 기술의 연결점을 찾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KTSDE-서베이&리뷰 기획 특집의 목표에 맞게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분야 연구에 대한 내용을 알기 쉽고 명료하게 작성된 서베이 및 리뷰 원고를 모집하고 있습니다. 영어 논문 및 최신 연구 개발 내용 및 기술들을 소개하고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한 제시 내용도 환영합니다. 한글 논문 및 일반 연구 논문도 모집합니다.

 

TOPICS and SCOPE (범위)
 

KTSDE-서베이&리뷰 주제는 다음의 주제들을 포함한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에 대한 모든 주제를 포함합니다

  • - 인공지능 및 기계학습
  • - 빅데이터 및 인지 컴퓨팅
  • - 차세대 통신
  • - 엣지/클라우드 컴퓨팅
  • - 사물인터넷 및 포그 컴퓨팅
  • - 미래 자동차 및 이동 기술
  • - 가상 현실 및 증강 현실
  • - 메타버스 및 웹 3.0
  • - 블록체인 및 암호학


제출 방법
 

  • - 제  출: 온라인 논문 투고 시스템에서 "기획특집 트랙" 선택
  • - 분  량: 20쪽 이내
  • - 형  식: 투고 규정에 따라 작성 및 제출해야 함
  • - 투고료: 10만원(페이지 초과에 대한 추가금 없음)
  • - 문의처: 조환희 (02-2077-1414, 내선 5번)
 

일정
 

  • - 제출 마감: 2023년 9월 30일
  • - 발간 예정: 2023년 11월 or 2024년 3월
 

초빙편집장
 

임종범 교수 (평택대학교)
 

[제출마감일 - 2021-09-30 2021-10-07]

 

AI 응용 기술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주제설명 및 범위 (Description and Scope)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은 인간의 지능이 할 수 있는 사고·학습·모방·자기 계발 등을 컴퓨터가 할 수 있도록 연구하는 컴퓨터공학 및 정보기술 분야입니다. 초기의 AI는 게임·바둑 등 협소한 분야에 사용되는 정도였지만, 현재는 실생활에 응용되면서 머신러닝/딥러닝, 데이터마이닝, 컴퓨터비전, 자연어처리, 음성인식, 지능로봇, 자율주행 등의 영역을 비롯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AI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본 기획 특집에서는 AI 기술을 이용하여 응용되고 있는 다양한 분야의 최신 연구 및 산업 기술, 사례 등의 논문들을 모집합니다.

 

TOPICS and SCOPE (범위)
 

Topics of interest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 - AI 응용 및 구현 기술
  • - AI 애플리케이션 및 서비스 기술
  • - AI 모바일 응용
  • - AI 플랫폼 및 프레임워크
  • - AI 활용 교육
  • - AI 기술의 산업분야 활용 사례
  • - 기타 AI 관련 연구 분야


제출 방법
 

  • - 제  출: 온라인 논문 투고 및 심사 시스템 - “기획특집 트랙” 선택  - 'AI 응용 기술' 선택
  • - 분  량: 투고 규정의 편집 양식 기준으로 10쪽 내외, 20쪽 이상 불가
  • - 형  식: 투고 규정에 따라 작성, 제출해야 함
  • - 심  사: 1차에서 심사완료 판정(가급적 재심사없이 1차 심사로 결과 판정)
  • - 양  식: KTSDE 저널 홈페이지(http://ktsde.kips.or.kr/)에서 다운로드
  • - 투고료: 10만원
  • - 문의처: 윤영숙 과장(02-2077-1414, 내선 3번)
 

일정
 

  • - 제출 마감: 2021년 9월 30일 2021년 10월 07일
  • - 발간 예정: 2021년 11월 (제 10 권, 제 11 호)
    * 논문지 출판 사정에 따라 발간 예정일은 조정될 수 있음.
 

초빙편집장
 

박지수 교수 (전주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제출마감일 - 2020-10-11 ]

 

에듀테크와 언택트 교육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주제설명 및 범위
 

에듀테크는 교육(Education)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된 단어로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 패러다임입니다. 이는, 4차 산업혁명의 빅데이터, 인공지능(AI), 로봇,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등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차세대 교육을 의미합니다. 
 최근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2020년 4월 최초의 ‘온라인 개학’이 이루어졌습니다. 온라인 강의는 이러닝(e-Learning)으로 익숙해져 있으나, 코로나-19로 인해 언택트(Untact : 비대면) 교육에 대한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이러닝과 함께 에듀테크 기술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디지털 뉴딜 정책을 통한 비대면 산업 육성과 에듀테크 통합 플랫폼 구축 등 적극적인 개발을 하고 있으며,. 세계 주요국들은 이러닝 및 에듀 테크 기술의 성장을 위해 법안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인공지능 교육과정을 도입하고, 4차 산업혁명의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인재 육성을 위해 디지털 역량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교육제도 개선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국내도 최근 디지털 뉴딜 정책을 통한 비대면 산업 육성과 에듀테크 통합 플랫폼 구축 등 적극적인 개발을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번 기획 특집 이슈에서는 에듀테크에 사용되는 기술 및 언택트 교육에 관한 기술에 대한 교육 분야의 연구 논문 및 교육산업 정책 논문들을 모집합니다.

 

범위
 

Topics of interest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 - 에듀테크 기술 
  • - 언택트 기반 교육
  • - 인공지능 기반 교육
  • - 이러닝 시스템
  • - 빅데이터 기반 학습 분석 
  • - 이러닝을 위한 상호작용 및 접근성
  • - MOOCs 
  • - 게이미피케이션
  • - 차세대 학습 관리 시스템
  • - 기타 에듀테크 기술
  • - 기타 이러닝 관련 연구 분야 


제출 방법
 

  • - 제  출: 온라인 논문 투고 및 심사 시스템 - “기획특집 트랙” 선택
  •           - '에듀테크와 언택트 교육' 선택
  • - 분  량: 투고 규정의 편집 양식 기준으로 20쪽 이내
  • - 형  식: 투고 규정에 따라 작성, 제출해야 함
  • - 심  사: 1차에서 심사완료 판정(가급적 재심사 없이 1차에서 심사 결과 판정)
  • - 양  식: KTSDE 저널 홈페이지(http://ktsde.kips.or.kr/)에서 다운로드
  • - 투고료: 10만원
  • - 문의처: 윤영숙 과장(02-2077-1414, 내선 3번)
 

일정
 

  • - 제출 마감: 2020년 9월 30일  => 2020년 10월 11일
  • - 발간 예정: 2020년 11월 (제 9 권, 제 11 호)
 

초빙편집장
 

박지수 교수 (전주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제출마감일 - 2016-10-30 ]

 

안드로이드 보안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주제설명 및 범위
 

에듀테크는 새로운 특별호를 발행할 예정입니다. 특별호에 대한 원고를 모집하고 있으며, 온라인 투고 및 심사시스템을 통해 투고되어야합니다. 
논문투고를 하실때 '기획 특집' 트랙을 선택한 다음 '안드로이드 보안' 을 선택하세요.

 

범위
 

Topics of interest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 - 안드로이드 시스템보안 
  • - 안드로이드 앱 보안
  • - 안드로이드 암호화
  • - 안드로이드 보안에 머신러닝 적용
  • - IoT 환경의 안드로이드 보안
  • - 기타 안드로이드 보안 연구


제출 방법
 

  • - 제  출: 온라인 논문 투고 및 심사 시스템 - “기획특집 트랙” 선택
  •           - '안드로이드 보안' 선택
  • - 분  량: 투고 규정의 편집 양식 기준으로 20쪽
  • - 형  식: 투고 규정에 따라 작성, 제출해야 함
  • - 심  사: 1차에서 심사완료 판정(가급적 재심사 없이 1차에서 심사 결과 판정)
  • - 양  식: 학회 홈페이지 (http://www.kips.or.kr -> 공지/행사)
  • - 투고료: 10만원
  • - 문의처: 윤영숙 과장(02-2077-1414, 내선 3번)
 

일정
 

  • - 제출 마감: 2016년 10월 30일 
  • - 발간 예정: 2016년 12월 (제 5 권, 제 12 호)
 

초빙편집장
 

호준원 교수 (서울여자대학교)